정크푸드를 많이 섭취하는 20~30대에서 크론병 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재원 의원(새누리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크론병 환자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9년 1만2473명에서 지난해 1만6138명으로 최근 5년간 29.4% 증가했다.
진료금액도 2009년 129억 5000만원에서 2011년 220억 6000만원, 2013년 306억 4000만원으로 2.4배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크론병은 만성 난치성 염증성 장 질환으로 궤양성 대장염과 달리 염증이 입에서 항문까지 위장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든지 발생할 수 있다. 주로 복통, 체중 감소, 설사 증상이 나타나며, 걸리면 평생 지속되고, 장관 협착, 누공, 천공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크론병 원인 예방법(사진=서울 아산병원)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크론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최근 5년간 95명으로 연평균 19명에 달했다. 저소득층 희귀난치성질환자로 질병관리본부에서 의료비를 지원하는 크론병 환자 1,091명 중 최근 5년간 사망자는 20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크론병 환자 1만6138명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가 4711명으로 29.2%에 달했고, 30대 3620명(22.4%), 40대 2207명(13.7%)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최근 5년간 30대 환자는 47%, 20대 환자는 41% 순으로 증가해 크론병이 젊은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크론병의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아 특별한 예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김재원 의원은 "크론병은 조기 진단이 되지 못하면 합병증으로 평생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오랫동안 설사를 하면서 체중 감소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적절한 검사를 받아서 크론병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며 정부에 크론병 조기검진 강화와 특히 젊은층을 상대로 가공식품의 과다 섭취를 줄이고 금연을 장려하기 위한 홍보·교육의 강화를 촉구했다.
한편 가수 윤종신도 크론병과 관련되어 화제가 된 바 있다. 윤종신은 음반은 물론, 라디오DJ, 시트콤, 프로듀서 등 다방면으로 활발히 활동할 2005년 종합검진을 통해 크론병이라는 희귀 난치병 진단을 받았다. 크론병은 염증성 장질환의 비교적 드문 희귀질환이다. 장이 막히거나 염증이 심해서 장에 구멍이 생겨 복통, 구토, 식욕부진이 계속되고 설사도 한 달씩 지속돼 살이 계속 빠지는 등의 만성적인 경과를 보인다.
2006년 1월 바로 입원해 소장 60cm 절제수술을 받은 윤종신은 수술 열흘도 안 돼 방송에 복귀했다. 하지만 그 때문인지 2007년 9월 다시 수술대에 올라 항문질환 수술을 받았다. 당시 예능에서 가벼운 치질수술이라 밝혔던 윤종신은 한 방송을 통해 "사실은 치질이 아니라 크론병에 관련된 질환이다. 속으로는 아픈 얘긴데 예능을 하는 입장에서 그렇게밖에 말할 수 없었다"고 남모를 가슴 아픈사연을 털어놨다.
자신의 희소병을 공개한 후 크론병에 대한 질문이 쏟아지자 윤종신은 "제 경우엔 멘탈 즉 마음 가짐이 굉장히 중요하더라. 증상이 온 경우는 항상 스트레스와 걱정이 심할 때였다. 2006년 1월 병 발견하고 수술후 성격을 아주 긍정적으로 바꾸도록 노력했다"라며 "음악도 그 이후 더 열심히 한 것 같다. '월간 윤종신'에도 큰 영향을. 특히 금연은 필수다"라고 병을 발견한 직후와 자신의 관리법을 소개하기도 했다.
전문의는 크론병에 대해 "당뇨, 고혈압과 마찬가지고 만성적인 질환이다. 완벽한 완치는 보기 힘들더라도 약을 잘 복용하고 정기적인 진료만 받으면 별 무리없이 생활할 수 있다"고 전했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재원 의원(새누리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크론병 환자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9년 1만2473명에서 지난해 1만6138명으로 최근 5년간 29.4% 증가했다.
진료금액도 2009년 129억 5000만원에서 2011년 220억 6000만원, 2013년 306억 4000만원으로 2.4배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크론병은 만성 난치성 염증성 장 질환으로 궤양성 대장염과 달리 염증이 입에서 항문까지 위장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든지 발생할 수 있다. 주로 복통, 체중 감소, 설사 증상이 나타나며, 걸리면 평생 지속되고, 장관 협착, 누공, 천공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크론병 원인 예방법(사진=서울 아산병원)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크론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최근 5년간 95명으로 연평균 19명에 달했다. 저소득층 희귀난치성질환자로 질병관리본부에서 의료비를 지원하는 크론병 환자 1,091명 중 최근 5년간 사망자는 20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크론병 환자 1만6138명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가 4711명으로 29.2%에 달했고, 30대 3620명(22.4%), 40대 2207명(13.7%)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최근 5년간 30대 환자는 47%, 20대 환자는 41% 순으로 증가해 크론병이 젊은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크론병의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아 특별한 예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김재원 의원은 "크론병은 조기 진단이 되지 못하면 합병증으로 평생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오랫동안 설사를 하면서 체중 감소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적절한 검사를 받아서 크론병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며 정부에 크론병 조기검진 강화와 특히 젊은층을 상대로 가공식품의 과다 섭취를 줄이고 금연을 장려하기 위한 홍보·교육의 강화를 촉구했다.
한편 가수 윤종신도 크론병과 관련되어 화제가 된 바 있다. 윤종신은 음반은 물론, 라디오DJ, 시트콤, 프로듀서 등 다방면으로 활발히 활동할 2005년 종합검진을 통해 크론병이라는 희귀 난치병 진단을 받았다. 크론병은 염증성 장질환의 비교적 드문 희귀질환이다. 장이 막히거나 염증이 심해서 장에 구멍이 생겨 복통, 구토, 식욕부진이 계속되고 설사도 한 달씩 지속돼 살이 계속 빠지는 등의 만성적인 경과를 보인다.
2006년 1월 바로 입원해 소장 60cm 절제수술을 받은 윤종신은 수술 열흘도 안 돼 방송에 복귀했다. 하지만 그 때문인지 2007년 9월 다시 수술대에 올라 항문질환 수술을 받았다. 당시 예능에서 가벼운 치질수술이라 밝혔던 윤종신은 한 방송을 통해 "사실은 치질이 아니라 크론병에 관련된 질환이다. 속으로는 아픈 얘긴데 예능을 하는 입장에서 그렇게밖에 말할 수 없었다"고 남모를 가슴 아픈사연을 털어놨다.
자신의 희소병을 공개한 후 크론병에 대한 질문이 쏟아지자 윤종신은 "제 경우엔 멘탈 즉 마음 가짐이 굉장히 중요하더라. 증상이 온 경우는 항상 스트레스와 걱정이 심할 때였다. 2006년 1월 병 발견하고 수술후 성격을 아주 긍정적으로 바꾸도록 노력했다"라며 "음악도 그 이후 더 열심히 한 것 같다. '월간 윤종신'에도 큰 영향을. 특히 금연은 필수다"라고 병을 발견한 직후와 자신의 관리법을 소개하기도 했다.
전문의는 크론병에 대해 "당뇨, 고혈압과 마찬가지고 만성적인 질환이다. 완벽한 완치는 보기 힘들더라도 약을 잘 복용하고 정기적인 진료만 받으면 별 무리없이 생활할 수 있다"고 전했다.
'M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은 건강이상설. "통풍' 앎는듯. 김정은 고도비만 당뇨 과체중 성인병 에멘탈치즈 (0) | 2014.09.26 |
---|---|
긴병에 장사없다. 남편 간병하던 아내 자살교사 (0) | 2014.09.19 |
태국칡 유방확대되나 자궁도 비대해져.. (0) | 2014.09.17 |
치매 진단.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K-MMSE (0) | 2014.09.07 |
치매 자가 진단법 서울대 의대 김상윤교수 (0) | 2014.09.07 |